BASIC (2) 썸네일형 리스트형 [React 기초 문법] #3 state와 props props와 state의 의미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props는 컴포넌트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모 컴포넌트가 설정하는 값으로 컴포넌트 내에서 읽을 수만 있다. 따라서 props를 바꾸려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바꾸어야만 한다 . 공식문서에 의하면 함수 컴포넌트나 클래스 컴포넌트 모두 컴포넌트의 자체 props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함수 (입력값을 바꾸려 하지 않고 항상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처럼 동작해야한다. 라는 말이 있다. 사용자의 액션, 네트워크의 응답 및 다른 요소에 대한 응답으로 시간에 따라 props가 컴포넌트 내에서 바뀌어야만 하는 상황이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 [React 기초 문법] #2 클래스형 컴포넌트 + props 컴포넌트의 기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UI를 만들어 줌. 라이프사이클 API를 이용하여 컴포넌트가 화면에 렌더링 될 때(didmount), 사라질 때(unmount), 업데이트 될 때(didupdate) 주어진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 legacy가 되어버린, 하지만 배워야하는 클래스형 컴포넌트 현재 코드스테이츠에서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알려주고, 이를 바탕으로 스프린트를 진행한다. 하지만 리액트관련하여 검색해보면 대부분의 자료가... 클래스형이다! 특히 stackoverflow에서는! 취업을 하려면 둘 다 할 줄 알아야할 것이다. 분명. 아무튼 클래스형은 아래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는데... import React, {Component}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