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tter

(2)
[React 기초 문법] #3 state와 props props와 state의 의미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props는 컴포넌트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모 컴포넌트가 설정하는 값으로 컴포넌트 내에서 읽을 수만 있다. 따라서 props를 바꾸려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바꾸어야만 한다 . 공식문서에 의하면 함수 컴포넌트나 클래스 컴포넌트 모두 컴포넌트의 자체 props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함수 (입력값을 바꾸려 하지 않고 항상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처럼 동작해야한다. 라는 말이 있다. 사용자의 액션, 네트워크의 응답 및 다른 요소에 대한 응답으로 시간에 따라 props가 컴포넌트 내에서 바뀌어야만 하는 상황이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
2021년 5월 9일 클래스를 이용한 모듈화, 프로토 타입 예습 내일의 일정을 확인해보니 클래스를 이용한 모듈화, 프로토 타입이라는 것을 공부해야하는 것으로 나와있었다. UR클래스에는 아직 강좌가 열리지 않아서 확인을 못했지만 해당 내용은 코드스테이츠를 수강하기 전에 객체를 공부하며 함께 본 기억이 있었기에 그때 공부했던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당시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을 적어 놨었는데 아래와 같다. 객체에 추가된 값으로 정의되는 속성을 property라고 한다. 속성들 중에 값이 함수인 것들을 method(동작, 기능)라고 한다. this란? 객체가 메서드를 실행했을때 메서드를 실행한 주체 객체, 자바스크립트 함수 안에서 this는 함수가 실행되는 context에 따라 값이 바뀐다. 생성자(constructor) 함수란 객체를 생성해내는 함수. functio..

반응형